김천시는 최근 지속된 고온건조한 날씨로 인해 샤인머스켓 과원의 해충 밀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샤인머스켓 총채벌레[김천시 제공]
올해는 평년보다 이른 고온 현상과 불규칙한 강우가 반복되면서 해충의 활동성이 전반적으로 높아진 상황이다. 이에 따라 해충의 전파 속도가 빨라지고 세대 번식 주기가 짧아져, 방제 시기를 놓칠 경우 밀도가 급격히 증가해 심각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매년 샤인머스켓 과원에서는 응애와 총채벌레 등 미소해충의 발생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들은 크기가 작아 잎 뒷면이나 포도송이 안쪽에 숨어 있어 조기 발견이 어렵고, 피해가 확산된 이후에야 눈에 띄는 경우가 많다.
응애는 전년도 동절기 가지 틈에서 월동한 뒤, 새 가지가 자라기 시작하면서부터 전 생육기에 걸쳐 흡즙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세대교번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같은 약제를 반복 사용하면 내성이 생기기 쉬워 작용기작이 다른 약제를 교차로 사용한 지속적 방제가 필수다.
총채벌레는 가지와 잎에 산란해 부화 후 토양에서 유충기를 거친 뒤 성충이 되어 포도 열매를 가해한다. 이는 상품성을 크게 저하시키므로, 바닥에 멀칭비닐을 덮어 토양에서 비상하는 성충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동시에, 봉지 씌우기 전까지는 송이 부위를 중심으로 집중 방제를 실시해야 한다.
김천시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최근 불규칙한 기상 변화로 병해충 발생 양상이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과원 정밀 예찰을 통해 조기 발견과 선제적 방제를 실천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밀 예찰과 과학적인 방제 체계가 필요한 시점에서 농가의 주의 깊은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이다.
기사등록 : 경북뉴스라인 / kth0997@hanmail.net
# [경북뉴스라인]의 모든 기사와 사진은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전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